카테고리 없음

🚘 중고차 연식 보는 법 완벽정리 (초보자 필수)

myblug3 2025. 5. 26. 07:29
반응형

“이 중고차 연식이 2018년식 맞나요?”
“연식은 등록일 기준인가요, 제조일 기준인가요?”

👉 중고차를 사기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정보 = 연식입니다.
연식은 차량의 가치, 감가, 보험료, 성능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.


✅ 연식이란?

**연식(年式)**은 차량이 공식적으로 등록된 연도를 말합니다.
즉, 자동차등록증에 적힌 최초 등록 연도가 연식입니다.

📌 주의!

  • 제조일등록일연식
  • 연식은 주로 "2018년식", "2020년형"처럼 불립니다.

✅ 중고차 연식 확인 방법 3가지

1. 자동차등록증 확인 (가장 확실)

  • 위치: '최초 등록일' 항목
  • 예: 2018년 7월 2일 등록 → “2018년식”

💡 등록증은 성능점검기록부나 차량 소유주가 제공해야 합니다.


2. 자동차 성능점검기록부

  • 중고차 거래 시 반드시 제공되는 서류
  • ‘연식’ 항목 따로 표기됨
  • 차량 연식, 주행거리, 사고 유무 등을 함께 확인 가능

3. 차량번호판 + 제조사 VIN 코드 확인

  • 차량 앞유리 하단이나 운전석 문틈에 차대번호(VIN) 존재
  • 10번째 자리 = 제조 연도
    예) KNAFX815BLA123456 → "L" = 2020년형

💡 참고표:

    코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연도

 

F 2015
G 2016
H 2017
J 2018
K 2019
L 2020
M 2021
 

🔄 제조일과 연식이 다른 이유는?

예를 들어,

  • 차량은 2019년 11월에 생산됐지만
  • 2020년 3월에 등록되면 → 2020년식으로 분류

💡 수입차는 특히 제조일과 연식 차이가 큼 (6개월~1년)


🧾 연식이 중요한 이유

    항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영향

 

감가상각 연식 낮을수록 가격 높음
보험료 연식 높을수록 보험료 높음 (수리비 기준)
정비성 연식 오래된 차량은 부품 단종 가능성
신뢰도 연식 낮을수록 리콜·결함 확률 ↓
 

🧠 TIP: “연식+주행거리” 함께 보세요

10년식 / 5만km <– 감가 큼
18년식 / 14만km <– 주행 과다

✔️ 기준:

  • 1년에 평균 1만~1.5만km 주행 정상
  • 연식 낮고, 주행거리 적은 차가 상태 좋을 확률 높음

💬 결론

✔️ 연식 = 등록일 기준, 차량 나이를 나타냄
✔️ 등록증/성능기록부/VIN 번호로 반드시 확인
✔️ 연식은 감가, 보험료, 정비에 큰 영향

 


🔗 함께 읽으면 좋은 글

  • [중고차 성능점검표 보는 법]
  • [중고차 사고차 판별법]
  • [중고차 주행거리 기준은?]
  • [허위매물 구별하는 법]

 

반응형